맨위로가기

홀수 지방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홀수 지방산은 탄소 원자 수가 홀수인 지방산을 의미하며, 펜타데칸산과 마가르산이 대표적이다. 짝수 지방산과 달리 홀수 지방산은 프로피오닐-CoA를 기본 단위로 하여 합성되며, 분해 과정에서 아세틸-CoA와 프로피오닐-CoA가 생성된다. 프로피오닐-CoA는 대사 과정을 거쳐 시트르산 회로에 참여하여 에너지를 생성한다. 홀수 지방산은 주로 반추동물의 지방과 우유에서 발견되며, 사람의 장내 세균에 의해 프로피온산 형태로 생성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지방산 - 발레르산
    발레르산은 5개의 탄소 원자를 가진 카복실산으로 불쾌한 냄새가 나는 무색 액체이며, 휘발성 에스터 제조에 사용되어 향수, 화장품, 식품 등에 활용되고 발레리안 뿌리 등에서 발견된다.
  • 지방산 - 아라키드산
    아라키드산은 탄소 20개로 이루어진 포화 지방산으로, 땅콩 기름과 같은 식물성 기름에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인체 내에서 세포막 구성, 신호 전달 물질의 전구체, 에이코사노이드 합성에 관여하고, 제약 산업에서 프로스타글란딘의 전구체로 사용되는 경제적 가치가 높은 물질이다.
홀수 지방산
일반 정보
종류지방산
탄소 원자 수홀수
특징
설명탄소 원자 수가 홀수인 지방산

2. 물질대사

홀수 지방산의 산화는 짝수 지방산의 지방산 산화와 유사하게 진행되지만, 최종 산물로 아세틸-CoA 외에 프로피오닐-CoA가 생성된다. 프로피오닐-CoA는 다음 세 가지 효소의 작용을 거쳐 시트르산 회로의 중간 대사물질인 석시닐-CoA로 전환된다.[5]

먼저, 프로피오닐-CoA 카복실화효소는 프로피오닐-CoA의 α-탄소를 카복실화하여 D-메틸말로닐-CoA를 생성한다.[15] 다음으로, 메틸말로닐 CoA 에피머라아제가 D-메틸말로닐-CoA를 L-메틸말로닐-CoA로 전환시킨다.[16] 마지막으로, 비타민 B12를 조효소로 사용하는 메틸말로닐-CoA 뮤타아제가 L-메틸말로닐-CoA를 석시닐-CoA로 전환시킨다.[17] 석시닐-CoA는 시트르산 회로로 들어가 에너지 생성에 이용된다.

2. 1. 생합성

짝수 지방산은 아세틸-CoA를 기본 단위로 하여 탄소 2개씩 추가되며 합성된다. 반면 홀수 지방산은 프로피오닐-CoA를 기본 단위로 하여 탄소 3개씩 추가되며 합성된다.[14]

가장 일반적인 홀수 지방산은 펜타데칸산(C15)과 마가르산(C17)이다.[3][4]

2. 2. 분해

홀수 지방산의 산화는 짝수 지방산의 지방산 산화와 유사하게 진행되지만, 최종 산물로 아세틸-CoA 외에 프로피오닐-CoA가 생성된다. 프로피오닐-CoA는 세 가지 효소의 작용을 거쳐 시트르산 회로의 중간 대사물질인 석시닐-CoA로 전환된다.[5]

먼저, 프로피오닐-CoA 카복실화효소는 프로피오닐-CoA의 α-탄소를 카복실화하여 D-메틸말로닐-CoA를 생성한다.[5] 다음으로, 메틸말로닐 CoA 에피머라아제가 D-메틸말로닐-CoA를 L-메틸말로닐-CoA로 전환시킨다.[6] 마지막으로, 비타민 B12를 조효소로 사용하는 메틸말로닐-CoA 뮤타아제가 L-메틸말로닐-CoA를 석시닐-CoA로 전환시킨다.[7] 석시닐-CoA는 시트르산 회로로 들어가 에너지 생성에 이용된다.[7]

홀수 지방산의 베타 산화

3. 생성

홀수 지방산은 주로 반추동물지방우유(예: 헵타데칸산)에서 발견된다. 일부 식물성 지방산도 탄소 원자 수가 홀수이며, 식물엽록소에서 흡수된 피탄산은 여러 개의 메틸기 분기점을 가지고 있다. 결과적으로 피탄산은 3개의 홀수 단위인 3C 프로피오닐 단위와 3개의 짝수 단위인 2C 아세틸 단위 및 1개의 짝수 단위인 4C 아이소뷰티릴 단위로 분해된다. 사람의 경우 뷰티르산 및 옥탄산과 극명하게 대조적으로 홀수의 짧은사슬 지방산인 프로피온산해당과정에 대한 억제 효과가 없으며 케톤체 생성을 자극하지 않는다.[18] 프로피오닐-CoA를 형성하는 홀수 지방산 및 가지사슬 지방산은 포도당신생합성을 위한 마이너 전구체 역할을 할 수 있다.[19][11] 사람의 경우, 프로피온산은 장내 세균에 의해 장에서 생성된다.[8]

4. 종류

홀수 지방산에는 프로피온산, 펜타데실산, 마르가르산, 헵타데세노산 등이 있다. 자세한 내용은 주요 홀수 지방산 문단을 참고하라.

4. 1. 주요 홀수 지방산

주요 홀수 지방산
지질 번호일반명계통명염/에스터 이름분자식구조식질량 (g/mol)그림
C3:0프로피온산프로판산프로피오네이트프로파노에이트C3H6O2CH3CH2COOH74.08
C15:0펜타데실산펜타데칸산펜타데카노에이트펜타데카노에이트C15H30O2CH3(CH2)13CO2H242.40
C17:0마르가르산헵타데칸산마르가레이트헵타데카노에이트C17H34O2CH3(CH2)15CO2H270.45
C17:1헵타데세노산시스-10-헵타데세노산헵타데세노에이트시스-10-헵타데세노에이트C17H32O2CH₃-(CH₂)₇-CH=CH-(CH₂)₇-COOH268.4


5. 건강 영향 (추가 제안)

홀수 지방산이 인체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아직 진행 중이다. 일부 연구에서는 홀수 지방산이 특정 질병의 바이오마커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네르본산이 그 예시 중 하나이다.

5. 1. 한국인의 홀수 지방산 섭취 (추가 제안)

한국인의 홀수 지방산 섭취에 대한 정보는 제한적이다. 홀수 지방산은 주로 반추 동물의 지방과 우유에서 발견되는 펜타데실산과 같은 성분이다.[8] 일부 식물성 지방산도 홀수 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고 있으며, 엽록소에서 흡수된 피탄산은 여러 개의 메틸기 분지점을 가지고 있어 분해 과정에서 홀수 개의 탄소 분절을 생성한다.[8]

사람의 경우, 장내 세균에 의해 장에서 프로피온산이 생성되는데, 이는 글리콜리시스를 억제하지 않고 케톤 생성을 자극하지 않는 단쇄 지방산(SCFA)이다.[9] 홀수 사슬 및 분지 사슬 지방산은 포도당 신생의 부수적인 전구체 역할을 할 수 있다.[10][1]

따라서 한국인의 식단에서 홀수 지방산은 유제품, 육류(반추동물 유래), 일부 식물성 식품을 통해 섭취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한국인의 홀수 지방산 섭취 실태와 건강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참조

[1] 논문 The animal fatty acid synthase: one gene, one polypeptide, seven enzymes 1994-12
[2] 논문 Odd-numbered very-long-chain fatty acids from the microbial, animal and plant kingdoms
[3] 논문 Pentadecanoic and Heptadecanoic Acids: Multifaceted Odd-Chain Fatty Acids 2016-07
[4] 서적 Harper's Illustrated Biochemistry McGraw-Hill
[5] 논문 Propionyl-CoA carboxylase - A review 2017-12
[6] 논문 A new enzyme in the conversion of propionyl coenzyme A to succinyl coenzyme A 1961-08
[7] 논문 Conformational changes on substrate binding to methylmalonyl CoA mutase and new insights into the free radical mechanism 1998-06
[8] 논문 Short-chain fatty acid fermentation products of the gut microbiome: implications in autism spectrum disorders 2012-08-24
[9] 논문 Importance of the modulation of glycolysis in the control of lactate metabolism by fatty acids in isolated hepatocytes from fed rats 1994-03
[10] 서적 Medical Biochemistry Elsevier
[11] 저널 The Animal Fatty Acid Synthase: One Gene, One Polypeptide, Seven Enzymes
[12] 저널 Odd-Numbered Very-Long-Chain Fatty Acids from the Microbial, Animal and Plant Kingdoms
[13] 저널 Pentadecanoic and Heptadecanoic Acids: Multifaceted Odd-Chain Fatty Acids
[14] 서적 Harper's Illustrated Biochemistry McGraw-Hill
[15] 저널 Propionyl-CoA carboxylase - A review December 2017
[16] 저널 A new enzyme in the conversion of propionyl coenzyme A to succinyl coenzyme A http://www.jbc.org/c[...] 1961-08
[17] 저널 Conformational changes on substrate binding to methylmalonyl CoA mutase and new insights into the free radical mechanism 1998-06
[18] 저널 Importance of the modulation of glycolysis in the control of lactate metabolism by fatty acids in isolated hepatocytes from fed rats 1994-03
[19] 서적 Medical Biochemistry Elsevi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